본문 바로가기
정보채움

기준금리 3.25%, 금융통화위원회 0.25%포인트 금리 인상

by 마이라이프로그 2022. 11. 24.
728x90

금융통화위원회

오늘 11월 24일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있는 날입니다.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었다는 뷰가 나오면서 Fed의 긴축 속도 조절이 예상되고, 10월에 이어 두 달 연속 빅 스텝을 밟을 만큼 긴박하지는 않다고 보면서 우리나라는 예상한 데로 베이비스텝에 그쳤습니다. 긴박하지 않은거 맞나요..?

한국은행 기준금리
한국은행 기준금리


베이비스텝은 기준금리를 0.25%포인트 인상한 것을 의미합니다. 금통위가 베이비스텝을 발표하여 사상 첫 6차례 연속 인상으로 2012년 7월 이후 10년 4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 되었습니다.
금리가 떨어질때는 어느 세월에 금리가 올라가나 했는데, 위기가 오니 금리는 한순간에 올라가는 것 같습니다. 

한미금리차

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.25%포인트 인상하면서 미국과의 격차는 일단 0.75% 포인트로 좁혔습니다. 하지만 다음 달 Fed(연준)이 빅 스텝만 밟아도 격차는 다시 1.25% 포인트로 확대될 것입니다. 
한미금리차 역전폭이 확대되면 국내 주식 시장과 채권 시장 등에서 외국인 자본이 유출됩니다. 자본유출로 인해 최근 1300원 초반까지 떨어졌던 환율이 다시 급등할 수도 있습니다. 우리나라는 외국인 자본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금리 역전이 일어날수록 국내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어요. 

금리인상 필요성

우선은 우리나라도 베이비스텝을 단행하며 금리인상 속도 조절을 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물가가 내년 1분기까지 5%대 물가가 지속될 수 있어 금리인상 필요성이 커지고 있어요. 국제유가가 배럴당 70달러 선까지 내려가며 꺾였지만, 겨울철을 앞두고 난방수요가 커질 경우 에너지 가격이 다시 오를 수 있기 때문에 당분가 고물가가 지속될 수 있습니다. 

인플레이션이 빨리 정점을 찍어야 안정을 찾을 수 있을 텐데, 그전까지 지속해서 지켜봐야겠습니다. 다음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결정일은 2023년 1월 13일입니다.

728x90
반응형

댓글